⭐ 목표: 간단한 홈 네트워크 구성과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구성을 예제로 자주 사용되는 물리적인 연결 기술과 구성요소 소개


INDEX

  1. 네트워크 구성도 살펴보기
  2. 프로토콜
  3. OSI 7계층과 TCP/IP
  4. OSI 7계층별 이해하기
  5. 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

1-1. 네트워크 구성도 살펴보기

**1-1-1. 홈 네트워크**
  1.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는 모뎀, 공유기, 단말 간에 물리적 연결이 필요함.
  2. 무선 연결은 무선 랜 카드와 무선 신호를 보낼 수 있는 매체(공기)가 필요하고 유선 연결은 유선 랜 카드(이더넷 랜 카드: 일반적으로 보드에 내장됨), 랜 케이블(=랜선)이 필요함.

<구성도>

**1-1-2.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**
  1.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는 안정적이고 빠른 대용량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구성함. - 이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10G, 25G, 40G, 100G, 400G와 같은 고속 이더넷 기술이 사용됨
  2. 과거: 3계층 구성이 일반적, but 스케일 아웃(Scale-Out) 애플리케이션 + 서비스 등장 ⇒ 2계층 구성인 스파인-리프(Spine-Leaf)구조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변화
  3. 스파인-리프(Spine-Leaf)구조: 서버 간 통신이 늘어나는 최근 트래픽 경향을 지원하기 위해 제안됨.
  4. 일반 서버에 10G Base-T 이더넷 포트가 기본적으로 제공 → TOR(Top of Rack) 스위치와 연결 → 리프(Leaf)스위치(TOR)는 스파인(Spine)스위치와 40G, 100G로 연결되는 추세

⭐ Spine: 척추(서버의 중심 = 코어), Leaf: 잎사귀(스파인 스위치로부터 다양한 통신을 받고(=node 및 패브릭) Rack 서버에 전달해주는 매개체), Rack: 상자(Leaf로부터 통신을 최종적으로 받는 상자역할(= 서버))


1-2. 프로토콜

  1. 프로토콜(Protocol): 규정, 규약 (=통신할 때의 규약) 최근에 복잡하고 산재되어 있던 여러 가지 프로토콜 기술이 이더넷-TCP/IP 기반 프로토콜들로 변경되고 있음
    1. 물리적 측면: 데이터 전송 매체, 신호 규약, 회선 규격 등. 이더넷이 널리 쓰임
    2. 논리적 측면: 장치들끼리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규격. TCP/IP가 널리 쓰인다
  2. 프로토콜은 문자 기반 X, 2진수 비트(bit) 기반으로 만들어짐
  3.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 = 문자 기반 프로토콜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 - HTTP, SMTP가 대표적임.
  1. TCP/IP 프로토콜 X, 프로토콜 “스택”O: 별도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, but 함께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 묶음을 프로토콜 스택이라고 부름 -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프로토콜들이 있음. (ex. ARP, SMTP, FTP 등..)
  2. TCP/IP 프로토콜 스택은 총 4개의 레이어로 구성되어있음 물리계층, 네트워크 계층, 전송 계층, 애플리케이션 계층